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8

그리스의 복식 ③ (2) 머리장식 그리스인들은 금발을 아름답게 여겼기 때문에 자연적인 모습 그대로에서 미를 표현하고자 했다. 이것은 남신이나 여신을 표현할 때 금발을 즐겨 사용하고, 길고 숱이 많은 제우스신이나 남자의 타래머리 등이 회화나 조각에 많이 보이는 사실로 알 수 있다. 비교적 단순한 의상으로 인해 자연히 머리치장에 관심이 많아져, 머리를 깨끗이 하고 컬을 만들거나, 잿물로 표백하고 노란 꽃을 으깬 물에 머리를 헹구어 황금색으로 착색하는 것 등이 유행이었다. 여기에 오일이나 향수로 윤을 내었는데 머리뿐 아니라 몸 전체에 사용했다. 그러나 상을 당했을 때나 슬픈 일이 있을 때에는 머리를 깎고 부정한 여자의 경우는 처벌의 의미로 남편이 머리를 깎는 등 머리의 아름다움을 중시한 것을 알 수 있다. 남자의 머리모양은 컬.. 2023. 2. 20.
그리스의 복식 ② 2. 복식의 개요 초기 그리스 복식은 딱딱한 직선적 감각의 비교적 단순한 형태를 보였으나, 경제의 번영과 오리엔트의 문물이 들어오면서 점점 복잡하고 화려하게 변화했다. 그들은 창조적인 예술성과 자유로운 정신, 직물의 유연성을 이용하여 단련 된 육체가 그대로 표현되는 드레이퍼리형 의상을 디자인했다. 즉 신체를 감싸기 위한 의상으로서 재단이나 바느질을 하지 않고 천 그대로를 몸에 걸쳤으며, 고정시키는 허리끈도 극히 가늘고 단순한 것을 사용했다. 그들의 의복은 어느 한 부분의 장식이나 미를 보여 주기 위한 것이 아니라 균형 잡힌 신체의 미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다. 그 형식은 다양한 크기의 직사각형의 천을 몸에 두르거나 감싸는 자유로운 형태로 일정한 규격이 없고 종족이나 환경, 생업, 개성에 따라 길이, 소재.. 2023. 2. 20.
그리스의 복식 ① 1. 사회·문화적 배경 그리스 문화는 기독교와 함께 서양문화의 정신적 지주가 되어 왔고, 그리스 복식은 대표적인 드레이퍼리형으로 로마로 연결되어 서양복식의 기본형이 되어 왔다. 그리스 복식의 특징은 정신, 육체, 의상이 완전하게 하나로 융합되어 창조되는 뛰어난 예술성에 있다. 그리스 복식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직접 또는 간접적 요인으로 먼저 역사적, 지리적 배경을 주목하지 않으면 안 된다. 기원전 1400년경부터 시작된 그리스인의 이동은 북유럽의 아드리아 지방에서 내려온 이오니아족의 이동에서 시작되었다. 소아시아에서는 아케아족이 더욱 남쪽으로 이동하여 미케네와 트로이를 점령하고, 그 뒤를 이어 호전적인 도리아족이 대륙의 본토뿐 아니라 지중해까지 진출하는 경로로 이루어졌다. 이들은 방언에 따라 구분되.. 2023. 2. 20.
크리트의 복식 ② 2. 복식의 개요 크리트 문명은 섬 문명으로서 주위 여러 나라와 해상무역을 하면서도 그들의 독자적인 성격을 띠었다. 특히 그리스와는 시대적 배경이나 지리적인 위치상 밀접한 관계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복식양식은 그리스와 전혀 달랐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즉, 그리스 의상은 한 장의 옷감을 몸에 우아하게 드레이프 한 데 비해, 크리트는 이미 고도로 발달된 재단과 재봉을 통해 입체적인 실루엣을 나타냈다. 크리트인들이 인체곡선의 아름다움을 자랑스럽게 나타내려고 입체적으로 구성한 것이, 같은 시대에 근접해 있던 다른 나라들의 복식과 틀린 점이다. 여성들은 유방을 완전히 노출시키면서 몸에 꼭 끼는 블라우스와 힙의 곡선을 나타내며 아래로 미끄러져 내려가는 벨 모양의 롱스커트를 입었는데, 이는 여러 층으로 나누어 붙.. 2023. 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