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8

중세 말기의 복식 ② 1. 사회 · 문화적 배경 - ② 고딕 시대 복식의 외관은 사람들의 종교에 대한 회의와 함께 많은 변화를 보이게 된다. 이러한 경향은 12세기 중엽에서부터 계속되어 오던 것으로, 십자군 전쟁이 실패로 끝나게 되자 교회의 절대적 권위는 무너지게 되고 사람들은 점차 중세적 기독교의 관념에서 벗어나려 했다. 즉, 좀 더 인간적인 즐거움을 찾으려는 노력이 싹트게 되었는데, 이러한 심리는 우선 자신의 치장에 관심을 갖게 만들어 복장에서 여러 가지 변화를 유발했던 것이다. 먼저 여성들의 과감한 노출이 시도되어 브이자형이나 유자형 등으로 네크라인이 내려가기 시작했다. 고딕 시대의 복장을 좀더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 시대의 독특한 예술양식을 먼저 고찰해야 한다. 고딕 양식이란 12세기 후반 프랑스를 시작으로 하여.. 2023. 2. 23.
중세 말기의 복식 ① 1. 사회 · 문화적 배경 - ① 십자군 원정에 의해 자극된 서유럽의 학문과 예술, 산업 등은 13~14세기에 이르러 비약적으로 발달했다. 그로 인해 이 시기에는 근대문화의 서광이 나타나면서 이전의 느린 성장에 비추어 약진하는 정도와 방법, 그리고 중세 초기, 중기와 근세의 중간적 존재라는 시기의 중요성 등이 더욱 부각되었다. 13~14세기를 통해 가장 눈부시게 진전한 것은 직물공업으로 이것이 새롭게 번영한 고딕 양식의 예술과 교차하면서 특징적이고 복잡한 복식양식을 형성했다. 고딕복에 나타난 다양성은 복잡한 정신생활과 다각적인 경제생활이 함께 반영된 것이다. 이제까지 지방시장의 규모로 생산되던 수공업은 기술의 진보와 생산방법의 개선, 원거리 통상의 번영으로 인해 보다 넓은 판매시장이 필요하게 되자 필연적.. 2023. 2. 23.
중세 중기의 복식 ② 2. 복식의 개요 로마네스크 시대의 복식은 게르만적 요소를 바탕으로 하여 십자군 원정으로 그리스, 로마의 전통을 계승한 비잔틴 복식문화와 고도의 동방문물이 융합되어 독특한 스타일을 형성했다. 동방의 독점 직물이었던 실크와 카튼의 수입으로 실크와 리넨, 실크와 울, 리넨과 울 등의 교직물이 생산되면서 달마티카와 튜닉은 블리오로 화려하게 발전하게 된다. 로마네스크 복식은 전체적으로 헐렁한 형에서 몸에 맞는 형으로 발전해 가는 과도기의 성격을 갖고 있다. 즉, 지퐁이나 블라오, 코르사주 등에서 이러한 변화과정을 뒷받침하는 재단의 발달을 추적할 수 있다. 또한 이때부터 남녀복이 분리되기 시작하고 여자복은 남자복보다 더욱 복잡하고 화려해졌다. 이 당시의 일반인들은 흰색의 리넨으로 만든 쉥즈 위에다 블리오를 입고 .. 2023. 2. 23.
중세 중기의 복식 ① 1. 사회·문화적 배경 서유럽과 브리튼에서는 10세기 후기에 이르자 오랜 기간의 혼란기를 벗어나 통일과 안정을 되찾게 되었다. 955년 오토 1세가 독일을 통합하여 신성 로마 제국을 건설했고, 987년 위그 카페가 프랑크를, 1066년 노르망디공 윌리엄이 브리튼을 통일하여, 현재의 독일, 프랑스, 영국의 기반을 이루었다. 이러한 통일 국가들이 국가체제를 확립해 가는 과정에서 왕, 귀족 시민 등 사회계층 간에 활발한 투쟁의 역사가 계속되었으며, 봉건제후들에 의한 장원경제 체제가 순조롭게 발전해 갔다. 그러나 그 구조는 자급자족을 원칙으로 한 폐쇄적 농업경제였다. 생산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점차 여가를 이용한 수공업 등이 발달하여 잉여생산물이 축적되기 시작했다. 따라서 농업 위주의 경제구조에서 공업이 분리하게.. 2023. 2. 23.